
네산 클리어리가 디지털 텍스타일 인쇄의 성공 여부가 섬유 생산의 마감 기술 발전에 달려 있다고 말합니다. 자동화 수준은 현지화된 생산의 효율성과 보다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에 기여하는 요소입니다.
디지털 텍스타일 인쇄에는 엄청난 발전이 있었지만 대부분은 실제 인쇄, 특히 잉크와 인쇄할 수 있는 원단의 범위에 관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 맞춤화 및 단기 인쇄, 특히 이미 생산된 의류에 직접 인쇄하는 패스트 패션이라는 새로운 시장 부문이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인쇄가 섬유 분야에서 지배적인 기술이 되려면 비용 효율적인 생산 체인에 맞출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섬유 제조 단계에 걸쳐 일부 자동화가 필요합니다. 현재로서는 특정 영역에 일부 자동화가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매우 효과적인 온라인 주문 및 결제 시스템이 있습니다. 또한 주문부터 인쇄까지 쉽게 자동화할 수 있는 생산 인쇄 소프트웨어도 상당히 잘 갖춰져 있습니다. 이는 빈 상품이 이미 제조되어 있어 인쇄는 최종 장식 단계에 불과한 의류 직접 인쇄에 적합합니다. 여기에서도 생산을 완료하기 위해 대형 건조 터널과 함께 재료 로딩의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롤 피드 프린터의 경우 인쇄 후 공정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자동화가 점점 더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롤 피드 프린터에는 건조 또는 경화 시스템이 제공되므로 프린터에서 직접 원단을 테이크업 롤에 감을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인쇄된 롤에서 패턴을 잘라내는 작업으로, 디지털 커팅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일부 기존 공급업체는 텍스타일 시장을 수용하여 자재 취급 및 소프트웨어를 커팅 테이블에 맞게 조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Zund는 턴키 방식의 텍스타일 재단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회사는 직물이 늘어날 수 있는 장력을 가하지 않고 재단 테이블에 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자재 취급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특정 매개변수가 있는 다양한 소재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자동화된 섬유 재단용으로 특별히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일치합니다. Zund의 마인드컷 스튜디오 소프트웨어에는 반복되는 프린트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는 재단 패턴을 원단에 맞추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절단 후 부품을 쉽게 선택하고 정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품에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Zund는 롤 피드 프린터와 같은 다른 공급업체의 장비와 통합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 마이크로 팩토리에서는 MS 텍스타일 프린터에서 출력된 인쇄물이 재단 테이블을 거쳐 바로 재봉에 들어갑니다.
©네산 클리어리

이로 인해 커팅 테이블과 컨베이어 시스템이 결합된 생산 라인이 롤 공급 프린터와 함께 작동하게 되었습니다. 이 설정은 인쇄된 패턴이 있는 원단 롤을 프린터에서 커터를 통해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봇 시스템을 추가하여 절단된 조각을 수거하고 폐기물은 컨베이어를 통해 수거함에 버릴 수도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부품을 분류하고 재봉하여 완성된 의류를 만드는 것입니다. 아직까지는 재봉틀로 무장한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수작업 공정이 대부분입니다. 재봉틀 안에서 재료가 늘어나거나 정렬이 잘못될 수 있기 때문에 양질의 재봉을 위해서는 상당한 손재주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도 자동화하기 시작한 재봉 로봇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원단을 잡고 재봉틀을 통해 움직일 수 있는 로봇 팔로 구성됩니다. 중앙 제어 시스템은 생산할 의류의 패턴을 읽고 해당 패턴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로봇 팔의 움직임을 매핑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로봇 팔을 안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비전 시스템 및 센서와 결합되어야 하며, 재료의 늘어남과 같은 문제를 감지하고 정렬 불량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기술은 아직 고품질 자수 작업과 같은 보다 전문적인 작업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솔기나 커프스 같은 일상적인 작업은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재봉 로봇은 커튼이나 가구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특히 적합합니다. 현재 이러한 로봇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특정 고객을 위해 제작되며 자재 처리 요소는 해당 고객의 요구에 맞게 맞춤 제작됩니다.
따라서 로봇 재봉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인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높은 비용 때문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패턴마다 상당한 프로그래밍이 필요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부 업체에서는 더 저렴한 대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ewbo는 수용성 에이전트를 사용하여 원단을 단단하게 만들고 로봇 팔이 재료를 제어하고 기존 재봉틀을 통과하기 쉽게 만듭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이를 통해 원단 취급의 어려움을 대부분 해소하고 기성 산업용 로봇을 재봉에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대부분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의류를 재봉한 후에는 강화제를 뜨거운 물로 씻어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 단계는 완성된 제품을 접고 포장하는 것으로,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존 기계가 많이 있으며 스크린 인쇄 의류 생산 라인과 일상적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프로세스를 결합하면 한쪽 끝에서 흰색 원단 롤을 가져와 필요에 따라 디자인을 인쇄하고 다른 쪽 끝에서 완성된 의류를 생산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된 생산 라인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엔드투엔드 생산은 이미 다른 상업 인쇄 분야, 특히 책 인쇄의 경우 소량 생산에 이르기까지 이미 존재합니다.
이러한 수준의 자동화는 의류 생산을 위한 완전 자동화된 마이크로 팩토리를 한 걸음 더 가까이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고도로 현지화된 생산이 가능해져 전 세계로 상품을 운송하는 것보다 훨씬 더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일부 시장에서는 전 세계 곳곳에서 빈 티셔츠를 구매하여 배송하는 것보다 그래픽을 롤에 인쇄한 다음 현지 판매를 위해 티셔츠 생산을 자동화하는 것이 더 비용 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하고 브랜드가 제품 라인에서 더 많은 개인 맞춤화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섬유 인쇄 및 마감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최신 콘텐츠를 확인하려면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로 제공되는 FESPA의 무료 월간 뉴스레터 FESPA World를 구독하세요.